Voici ce que j'ai vu:
il est bon et beau pour l'homme de manger et de boire et de prendre du plaisir
dans le travail qu'il accomplit sous le soleil,
pendant la durée de vie que Dieu lui accorde, car c'est sa part.
Et même, si un homme a reçu de Dieu des richesses et des biens,
s'il lui a donné le pouvoir d'en manger, d'en prendre sa part et de se réjouir au milieu de son travail,
c'est un cadeau de Dieu.
En effet, il ne se souviendra pas beaucoup de la durée de sa vie,
parce que Dieu l’occupe en déversant la joie dans son cœur. (Ecclésiaste 5:17-19 S21)
(18) 마당 가꾸기는 내 집 마당이라는 소유욕과 이웃집 마당보다 더 예쁘고, 가지런하고 싶은 일방적인 경쟁심 때문에 고달프지만 그것도 노동이라고 그 후의 휴식은 감미롭다. 집 앞이 바로 숲이다. 숲이 일 년 중 가장 예쁠 때가 이맘때다. 매해 보는거지만 5월의 신록은 매번 처음 보는 것처럼 새롭고 눈부시다. 신록의 빛깔도 수종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다. 순적한 녹두색도 있고 갈색이나 보라색이 도는 연녹색도 있고, 젖빛이 도는 건 아마도 아카시아일 것이다. 그런 미묘한 차이가 원근과 수종에 따라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바람이 불 때마다 움직이고 살랑이는 모습도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한결같이 몽실몽실 부드럽고 귀여운, 꼭 아기 궁둥이 같은 게 오월의 나무들이다. 내 소유가 아니어서 욕심 없이 바라볼 수 있는 자유와 평화, 그게 바로 차경(借景)의 묘미 아니겠는가.
(25) 내가 꿈꾸던 비단은 현재 내가 실제로 획득한 비단보다 못할 수도 있지만, 가본 길보다는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다운 것처럼 내가 놓친 꿈에 비해 현실적으로 획득한 성공이 훨씬 초라해 보이는 건 어쩔 수가 없다.
(50) 유일하게 감동하고 축복해 주고 싶은 웨딩촬영이 있었는데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진 두물머리 꼭짓점에서 하는 촬영이었다.
(79) 김구 선생의 백범일지 중에서..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85) 내가 믿는 '집밥'의 효능을 믿어주는 건 그래도 피붙이밖에 없는 것 같다. 따로 사는 손자가 오늘 할머니한테 가서 저녁 먹고 싶다고 전화를 걸어올 때가 가끔 있다... 성경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대목은 예수가 당시 사람들을 신분에 상관없이 당신 식탁에 초대했다는 기록이다. 예수님의 식탁에 초대받은 손님은 거지나, 병신, 세리, 창녀들로 당시의 계급사회에서는 최하층의 불가촉천민들이었다... 그들 죄인과 소외계층은 예수님과 한 식탁에 앉아 동등한 대접을 받음으로써 위로와 용서의 은총을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천한 신분의 죄인들과 한 식탁에서 먹고 마시고 하나가 되어 우의를 다졌다는 기록은 사대복음서에 공히 여러 번 반복해서 나오니 아마 실화일 것이다. 실화일 터인데도 너무 아름다워 꼭 꾸민 이야기, 소설처럼 읽힌다.
레이몬드 카버 - <대성당> (김연수 역)
(150) 엔도 슈사쿠 - <사해 부근에서>
(179) 비슷한 기억을 되풀이하며 어디로 가고 있을 뿐 처음은 없다는 사실
(195) 엄마가 됨으로서 남의 자식도 다시 보게 되고 살아 있는 모든 생명에 대한 측은지심이 생겨나고 십시일반의 정신도 우러났을 것이다.
(204) (김연수작가의 소설에 대해서) 역사소설은 경험자가 쓰는게 아니라 훗날 누군가에 의해 상상됨으로써 쓰일 것이다. 상상하려면 사랑해야 한다. 작가가 기울인 노고 속에 사랑까지 포함돼 있다는 게 도처에서 느껴진다.
(208) 과거에다가 만약을 붙여 가정하는 것처럼 부질없는 짓은 없는 줄 아나 이 도만 아는 세상을 살기가 하도 편지 못하여 해보는 소리이다.
(228) on Proust Was a Neuroscientist by Jonah Lehrer: 아무리 무더운 여름이라지만 거듭 읽어도 싫증 안 나는 책이 머리맡에 있고, 책방으로 뛰어가고 싶게 만드는 책도 있으니 지루함을 모르고 날 수 있을 것 같다.
(240) 나는 민주화 운동이 한창 치열했던 1980년대에 가톨릭 교리 공부를 시작해서 몇 번의 재수 끝에 1985년에 영세를 받았다. 가톨릭에 대해 확신이 생겨서가 아니라 민주화 운동의 한 가운데 그분이 계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그분은 정의를 위해 박해받고 쫓기는 이들을 말없이 그분의 날개로 덮고 품으셨을뿐, 결코 선동하거나 부추기지는 않으셨다. 만약 그분까지 투쟁적이었다면 그분의 그늘, 그분의 날개 밑이 그렇게 편했을리가 없다.
(243) "바티칸은 지구 상에서 가장 작은 나라다. 이 작은 나라가 전쟁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제로에 가깝지만, 평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무한대다."
(248) 선생님은 늘 말씀하셨지요. 땅처럼 후한 인심은 없다고, 뿌린 것에다 백배 천배의 이자를 붙여서 갚아주는 게 땅의 마음이라고, 본전 까먹지 말고 이자로 먹고살아야 한다고. 그러니까 선생님은 밭에 엎드려 김을 매고 있는 게 아니라 경배를 하고 계셨느지도 모릅니다.
이어령
꽃은 먹을 수 없지만
빵을 씹는 것보다는 오래 남는다.
향기로 배부를 수는 없지만
향로의 연기처럼 수직으로 올라가
하늘에 닿는다.
들에 핀 백합은 밤이슬에 시들지만
성모 마리아의 순결한 살을 닮은
흰빛이 대낮보다 밝다.
붉은 튤립은 화덕 속의 빵보다
뜨겁게 부풀어
속죄의 피보다 더 짙다.
짐승처럼 허기진 날에도
꽃은 아무 데서나 핀다.
들에도 산에도
먹지 못하는 꽃이지만
그 씨가 말씀이 되어 땅에 떨어지면
나는 가장 향기로운 보리처럼
내 허기진 영혼을 채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