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um of innocence
live love


어렸을 때부터 아빠한테 뭔가 사달라고 말하면 언제나 허락되었던 것은 책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내 수입의 더 많은 부분을 베푸는데 쓰려고 노력중이나 답답하면 집 앞 공원에서 산책을 하면서 기도할때도 있지만 금요일에는 책방에 갔다. 모든 섹션을 차근차근 돌면서 찾아보는데 돌아돌아 오르한 파묵 책을 들었다 (그리고 Jules Renard's Nature Stories & Keynes'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 Money). 그랬더니 캐쉬어가 파묵 아저씨가 자기 BFF라고 자랑했다. 잠시 멍때리고 있는 내게 굉장히 자주 오신다고 귀뜸해줬다. 아 맞다, visiting scholar로 학교에 와계셨지.

"it was the happiest moment of my life, though i didn't know it. Had I known, had I cherished this gift, would everything have turned out differently? (pg 3)"

책을 고르고 나서 홀푸즈에서 젤 좋아하는 new england clam chowder를 사왔다. 요즘 얘네들을 돌아가면서 먹고 있다. 매일아침 오렌스의 블렌드+두유, 물만두, 두부+팽이버섯+청경채, 무우말랭이, 블루베리+무슬리+greek yogurt, 사과당근오곡스무디, 크랜베리+feta cheese+참치 or 토마토+아보카도+사과+레몬드레싱 시금치 샐러드.

먹는 얘기 하니까 호두과자, 떡볶이, 월남쌈 먹고싶다ㅏㅏ  두개는 해 먹으면 되지만 호두과자는.. 음ㅎㅎㅎ

보송보송한 목도리 두르고, 호두과자 호호 불어먹는 겨울이 빨리 왔으면 좋겠는데 기후변화를 몸소 느끼는 뉴욕의 날씨. 10월 10일인데 29도라니. 지금 TA하는 수업에서 한창 나오는 내용인데. climate change modeling. climate change adaptation에 관련된 연구, 특히 농업-개발학(nutrition, credit constraint)-ecology(soil nutrient, biodiversity)를 엮는 연구, 개도국 에너지 leapfrogging에 대한 연구하도록 주님이 지도교수가 되어달라고 기도하고 있었는데 (마땅히 하는 교수가 없어서..), 사람들을 붙여주시거나 프로젝트에 대해서 알게 하심으로써 연구주제/기회가 쏟아지는 10월이네. 하하하 다 도와주실거죠?

나누는 삶의 방식에 대해서 더욱 생각하는 요즘이다. 뉴욕에 있다보면 (그리고 오히려 서울은 더) 눈에 보이는 것에 쉽게 집착하게 된다. 점점 더 '내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부질없다는 걸. 그리고 내가 편하게 느끼는 생활방식, 음식, 책, 옷을 알아가니 더 가지려고 하는 마음을 다스리게 되고, 베풀 때 더 행복한 것 같다. 이렇게 조금씩 변해가는 내가 나도 신기하다. 분명히 블랙피코트랑 예전에 봤던 phillip lim 백이 갖고 싶었는데 이제 마음이 식었어. 우리가 사는 사회는 돈, 평판, 힘을 축적하면 행복할 거라고 세뇌하려 하지만 맡은 자리에서 친절, 정의와 공의를 베푸는 것을 지향하게 되는걸까. 한 순간에 일어나는 변화는 아니지만 나 혼자가 아니기에 생명력 있는 말씀이 있기에 지속가능하겠지.

listening to autumn playlist via spotify!
9월 일기
live love

뉴욕에서 젤 맛있는 블루베리 팬케잌 집 2호가 캠퍼스에 있다는 것
으히ㅣㅣㅣ

아무나 안 데려가는 곳

이번달 베스트 디너

카톡으로 받은 9월 서울에서의 나


star projector

완전 내 취향인데 이거 선물받으면 다른 사람들도 좋아할까?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산다는 것
너에게 보내는 마음/따스한 치유
저번주 다니엘서로 했던 WASH(words and sharing) 좀 많이 좋아서 써놓고 싶다.

일반적인 성공의 기준은 무엇인지, 우리에게 실력 혹은 성공이란 무엇인지 말씀찾아 나누었는데 새로운 것도 있었고, 고등학교 때 깊게 묵상했던 것도 있어서 예전의 나를 기억하게 되는 시간이기도 했다.

디모데전서 6:6-10 (마태복음 6:24, 누가복음 12:29-34, 잠언 15:16), 잠언 31:30, 마태복음 20:20-28, 창세기 1:28, 베드로전서 2:9, 로마서 13:10, 빌립보서 3:1-16.

다니엘과 그 친구들이 지혜와 총명이 그토록 뛰어난 것은 (단 1:20), 원래 그들이 똑똑한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1:4) 라고 주장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주장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스도인이 실력을 쌓기 위해 해야 할 것이 무엇입니까? (사무엘상 2:30, 시편 37:4, 다니엘 1:8-9, 여호수아 1:8, 잠언 3:1-18, 잠언 12:24, 잠언 13:20, 야고보 3:17, 1:5, 골로새서 2:3).

여호수아 1:8은 연초에 받은 말씀이었는데, 주야로 묵상하고 기도해야지 깨어있을 수 있고 다니엘처럼 뜻을 정하여 행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원래 똑똑한 사람은 많은 것 같다 (공부하는 사람들 주위에 있어서 그런지ㅎㅎㅎ 다들 비상해~). 항상 똑똑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다. 요즘 많이 생각하는 것: patience, endurance and consistency. 사람의 힘으로 인내하는 건 정말 힘든듯. 열정으로 무엇을 시작하더라도 차근히 꾸준히 마무리를 기대하면서 기다리기. 내가 공감했던 트윗: 꿈은 일을 시작하고 열정은 일을 계속하며 소통은 일을 함께 하지만… 일을 끝내는 것은 인내입니다.